게젤의 성숙 이론
성숙주의 이론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견해입니다. 생물학적 관점(Biological perspective)란 생물학적 계획에 따라 영유아의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럼 게젤이 주장한 성숙 이론에는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숙 이론(Maturational theory)의 기본 관점
성숙은 성장과 발달 방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영유아의 발달은 유기체 내부에 이미 정해진 특정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발달 속도에 알맞게 환경을 제공할 것을 강조합니다.
발달은 양적이 아닌 질적 변화이며 질적 변화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외적 강요나 연습은 왜곡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인간은 태어날 때 이미 물려받은 유전적 정보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달해 나갑니다. 유아의 발달 속도에는 개인차가 있는데 이러한 개인차 역시 내적인 유전적 기재에 의한 차이로 보는 것이 성숙 이론의 관점입니다.
주요 개념 및 관련 용어
1. 학습 준비도(Readiness)
영유아가 성숙되기를 기다린 후 무언가를 가르쳐야 합니다. 신체적 발달이 완성되었을 때 학습이 가능하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특정 발달이 나타나려면 내적 발달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유아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유아가 성숙할 때까지 양육자와 교사가 기다려야 합니다.
2. 표준 행동 목록(Normative data)
성장과 발달을 연령별로 상세히 제시한 행동 목록입니다. 영유아의 행동 발달상 특성을 연령별로 비교하여 발달을 평가하는 발달 규준이 되어 여전히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발달의 원리
1. 발달 방향의 원리
발달은 일정한 방향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특정한 순서대로 진행되도록 성숙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시받습니다.
2. 상호적 교류의 원리(Reciprocal interviewing)
신체는 서로 상반되는 두 특성이 균형을 이루어가면서 발달합니다. 발달상 서로 대칭되는 양측은 점차적으로 효과적인 체제화를 이루어 나갑니다. 대칭되는 두 부분이 서로 한 부분 씩 발달한 다음, 함께 통합되어 균형적으로 발달해가는 것입니다.
3. 기능적 비대칭(Functional asymmetry)의 원리
발달은 구조상 대칭적이더라도 기능상 약간 불균형을 이루어서, 어느 한쪽이 우세한 경우 오히려 실제로 기능적입니다. 예를 들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있습니다.
4. 자기 조절(Self-regulation)의 원리
인간의 내재적 발달 기제는 각자 자신의 발달을 스스로 규제할 수 있습니다. 자기 조절의 원리에 따라 영유아 아동은 자기 규제를 통해 스스로 자신의 수준과 능력에 맞게 성장을 조절하고 이끌어갈 수 있습니다.
유아에게 성숙 수준을 넘어서는 성취를 강요하지 말아야 합니다.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새로운 것을 시도하지 않도록 스스로 행동을 조절함으로써 너무 빨리, 너무 많이 배우도록 강요받을 때 이에 저항하면서 자신의 수준에 맞도록 조절하고 이끌어갑니다.
5. 개별성(Individuality)의 원리
각 개인의 내적 유전 기제에 의해 성장 속도에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이는 구성주의에서의 개별성과는 다른 의미로 그 개인차마저도 유전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