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로웬펠드의 아동미술 발달이론

by 해브펀아쪼 2022. 4. 19.
반응형

로웬펠드의 아동미술 발달이론

 

로웬펠드(1947)가 제시한 묘화 발달단계는 아동화의 발달을 설명하는 많은 이론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커 지금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림의 발달단계는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제시하고 있으며, 총 여섯 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1. 난화기(scibbling stage, 2~4세) : 긁적거리기

자기표현의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착화의 단계로 방향감각 없이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긁적거려 놓는데, 이 시기는 무엇인가 그린다는 목적보다는 단지 손의 근육운동과 그 결과로 생긴 선들을 발견하고 즐기는 것뿐이며, 활동을 통해 환경의 어떤 면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아동은 근육 감각과 시각이라는 두 가지의 중요한 감각운동을 연결시키며, 종이 위에 그려진 표시가 아동 자신의 근육 활동과 관계됨을 인식하게 됩니다. 이 시기는 부모와 교사의 격려 외에 더 좋은 자극이 없으며 간섭은 아이의 운동감각 기능의 성장을 억제시킵니다.

 

난화기의 3단계 (1~2.5세)

1) 무질서한 난화기

소근육의 미발달로 큰 의미가 없고 불규칙한 선을 그리는 시기입니다. 
2) 조절하는 난화기

동작이 반복되면서 시각과 근육활동 간의 협응이 시작됩니다. 수평선, 수직선, 원형의 선 등이 나타나며 선이 일정한 반복으로 나타납니다.
3) 의도적 난화기

명명하는 난화기라고도 하며 무의식적인 접근이 의식적인 접근이 되면서 자신이 그린 난화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합니다.

 

 

 

2. 전 도식기(The Pre-schematic stage, 4~7세)

대상과의 관계를 발견하기 시작하며 최초로 의도적인 표현이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자기 자신의 직접적 반영을 하며 어른이 어린이를 이해하는 매개체가 됩니다.

2차원적인 그림을 그리며, 원시미술과 유사한 표현양식을 보이고 이집트 벽화에서 보이는 정면성의 법칙이 나타납니다. 색채를 구별하게 되고 감정과 정서에 따라 색을 선택합니다. 인물을 그릴 때, 원은 머리로 선은 다리로 표현합니다. 나무, 해, 산, 공룡 , 동물 , 경험했던 것을 그립니다. 자기중심적이며 추상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3. 도식기(The schematic stage, 7~9세)

아동화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를 공식화하며 이를 도식적으로 표현합니다. 자기 선이 나타나며 접혀 그리기 기법, 투시 기법을 사용합니다. 대상과 색채의 관계를 형성하여 같은 대상에 대하여 같은 색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간 개념이 싹트기 시작하고, 공간에 대한 분명한 질서(ex. 하늘과 땅 구분)가 이루어지면서 기저선(Base line)을 활용합니다. 중요한 부분은 과장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생략합니다. 외부보다 내부를 더 강조하는 엑스레이식 표현이 특징적인데, 예를 들면 사람의 몸 내부에 있는 심장, 위 등을 그립니다. 창의성이 극적으로 표현되는 시기입니다.

 

 


4. 여명기(The Gang Age, 9~11세)

또래 집 단기라고도 불리며 또래집단의 의사를 존중하고 도식적 표현에서 벗어나 세부 표현을 하기 시작합니다. 기저선 그리기를 탈피하며 사물을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리얼리즘의 시초단계입니다.  옷, 드레스, 유니폼, 머리 모양 표현이 두드러지고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

 

 


5. 의사실기(The Pseudo-Naturalistic stage, 11~13세)

자기중심에서 외계인 식이나 미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사실적 표현 경향이 높아져 관찰 묘사에 의존하게 됩니다. 자신이 본 것을 그대로 그리는 시각형과 느낌과 감정을 그리는 비시 각형 그림이 나타납니다. 모든 묘사가 운동감이 많아지며, 삼차원적 표현을 하며 명암, 음영 등을 표현하고 원근법이 나타납니다.

아동화에서 보이는 독특한 분위기는 사라지고 작품의 평가기준을 사실적 표현에 두게 됩니다 그림이 잘되거나 잘 안 되는 아동으로 점차 드러나게 됩니다. 자신의 주관적인 감정을 드러내며 색칠하며 자아의식이 싹트고 협동과정의 작품에서 사회성을 발휘하며 발달합니다.


6. 결정기(The Period of Decision, 13~17세)

창조적인 그림을 그리는 시기입니다. 주변 환경을 창의적으로 받아들여 표현이 촉각형, 시각형, 중간형으로 나타납니다. 촉각형은 내면 정서의 표현, 색채나 공간 표현이 주관적입니다. 성인으로의 입문과정이며 자신의 행동이나 자기의 창조적 작품에 대하여 지각하게 되며 창조적인 작품에 대한 감각적인 활동이 주를 이룹니다. 시각형은 외관과 비례, 명암, 배경, 원근 등을 중요시하여 주변 환경과 자신의 눈을 통해 알고 느낀 것을 표현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