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언어의 특징과 영유아 언어 교육의 중요성

by 해브펀아쪼 2022. 12. 21.
반응형

언어의 특징과 영유아 언어 교육의 중요성

언어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뿐 아니라 개인의 사고 과정, 그리고 더 나아가 역사와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입니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약속이면서 때에 따라 변화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의미한 발성이 의미 있는 소리가 되고 생각을 서로 나누는 의사소통이 되기까지의 긴 시간 동안 주양육자 및 교사는 규칙 습득을 도우며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럼 영유아 언어의 이해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hoto by Yuri Shirota on Unsplash

 

언어의 특징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갑니다.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이 중 언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사람들은 언어를 통해 자기 자신의 욕구와 생각을 표현하고 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언어를 통해 서로 의미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가 지닌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언어는 고유한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언어는 오랜 시간 동안 변화를 겪으며 구성원들의 사용 방법, 빈도, 사례 등을 고려하여 그에 걸맞은 문법이나 사용 가능한 예 등을 가다듬어 왔습니다.

둘째, 언어는 임의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임의적이라는 것은 사물이나 상황을 지칭하는 언어를 생성할 때 일정한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같은 사물이나 개념이라 하더라도 국가, 민족, 문화, 지역에 따라 다른 언어를 사용합니다.

셋째, 언어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물이나 개념을 언어화할 때 각 언어권에서 사용하는 '기호'를 사용하여 표상합니다. 언어를 표기하는 기호도 지속적인 변화를 겪으며 언어권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전해 왔으며, 현재 한국어는 한글을 사용하고 중국어는 한자를 사용합니다.

넷째, 언어는 그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사회적인 특징을 지닙니다. 언어는 사회 구성원의 약속이며 정해진 방식으로 맥락에 따라 사용됩니다. 사회 구성원의 사고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언어의 상징성이 확장되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합니다. 또한 사회 변화와 더불어 언어도 변화합니다. '컴퓨터', '텔레비전'이라는 단어는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와 텔레비전이 생기기 전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던 언어입니다. 하지만 현재에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일상 단어가 되었습니다.

 

 

영유아 언어 교육의 중요성

영유아기에 언어 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므로 영유아기 언어 지도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유아기에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타인의 의사를 수용할 줄 아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이는 영유아 언어 교육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영유아기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언어 규칙을 습득해가는 시기입니다. 문화에 따라 배우는 단어의 순서나 구조는 다를 수 있지만 이후 사용하는 언어 체게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임은 분명합니다.

첫째, 언어 교육은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습니다. 영아기에는 주로 몸짓, 표정을 통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많았다면 유아기에는 주변 사물과 사건,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비록 영아기에 정확한 어법의 사용이 어렵고 문자처럼 형식화된 언어로 표현되지 않더라도 의사소통은 가능합니다. 정확한 언어로 설명하지 않아도 공유하는 경험과 문화가 있으면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언어를 통하지 않는 의사소통은 한계성을 지닙니다.

둘째, 인간은 언어를 통하여 대리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직접 경험을 통해서 대상, 사물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는 시간적, 공간적, 물질적 제약이 따릅니다. 언어 교육을 통해 습득한 말과 글을 통해 영유아들은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하며 경험을 확장하기도 하고 글을 통해 상상적인 경험과 문제 해결 과정을 깨달아 갈 수 있습니다.

셋째, 언어는 뇌 발달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촘스키는 언어를 뇌가 형성되고 나서 발생한 자연적인 산물로 보고 두뇌 속에는 선천적 문법 기계가 내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뇌의 정상적인 발달은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뇌의 발달은 2세경부터 분화되기 시작하여 12세 경이되면 뇌의 측면화 현상이 끝나게 되는데 뇌 발달의 결정인 유아기는 언어 발달의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유아기에는 좌뇌와 우뇌 발달 과정에 기초한 언어 교육이 필요합니다.

넷째, 언어와 사고는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언어와 사고 발달은 서로 연관성이 지니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학자에 따라 상이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피어와 워프는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는 견해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에 의해 사고와 경험 양식이 구조화된다는 것입니다. 한편, 피아제와 비고츠키는 언어와 사고는 서로 다른 발생적 기원을 갖는다고 보았습니다. 피아제는 언어가 사고를 정교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보았고 사고의 발달이 언어 발달에 선행한다는 견해를 지니고 있으나 비고츠키는 언어가 사고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두 학자의 의견이 조금 다른 면을 지니고 있으나 하지만 언어는 사고의 바탕이 되고 사고를 통해 언어의 정교화와 상위 인지로 발달해가는 과정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다섯째, 언어는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의사소통은 개인의 감정과 태도, 요구를 전달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상대의 반응에 따라 의사소통의 방식을 수정해나가기를 반복합니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어휘, 표정, 어조를 변화시키며 상대의 요구를 소용하기도 하고 본인의 요구나 감정 표현의 수위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또한, 주장과 양보, 조절 행동을 통해 또래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성을 발달시켜 나갑니다. 이렇듯 언어를 통한 공유된 의식은 영유아들 간의 친밀감과 소속감을 형성합니다.

반응형

댓글